[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 서울시 인허가 기준을 100% 충족하는 설계를 바탕으로 인허가 지연 없는 신속한 사업을 약속했다.

래미안 루미원 야경경관 투시도 (이미지=삼성물산)

24일 삼성물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재건축·재개발 사업에서 조합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시공사의 '대안설계' 제안을 허용하고 있지만 서울시 시공자 선정 기준 등 법적·행정적 요건을 엄격히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과도한 경쟁으로 무분별한 설계안 제시 및 사업지연 등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라고 삼성물산은 설명했다.

삼성물산은 이를 고려해 인허가 등으로 인한 사업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불안 요소를 원천 차단하는 설계안을 제시헸다고 전했다.

먼저 인허가가 불확실한 스카이 브릿지 조성을 제외한 대신 두 개의 랜드마크 주거동에 최상층에 스카이 커뮤니티를 적용했다. 최근 서울시에서 조화로운 도심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스카이 브릿지에 대한 심의를 엄격한 잣대로 진행하는 추세를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또 삼성물산은 단지 외곽부는 저층(10층 이하), 중심부는 고층(29~35층)의 텐트형 구조를 갖췄는 데 이는 최근 서울시가 추구하는 자연스러운 스카이라인 구축 방침을 준수한 것이라고도 했다.

아울러 영희초· 중동고 등 단지 인근 학교의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지능(AI)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2시간 이상의 연속 일조 시간을 확보하는 등 관련 법률도 100% 준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은 단지의 생태환경 측면에서도 생태면적률(대지면적의 45% 이상)과 자연지반녹지(생태면적률의 40% 이상)를 기준 이상으로 확보해 향후 환경영향평가를 고려한 사전 대응 설계로 사업 리스크를 원천 차단했다고 강조했다.

이 외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17% 준수 ▲임대 세대 156 가구 확보 ▲연결녹지 용도 유지 등 서울시 정비계획 고시 내용을 준수하는 등의 설계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설계 변경이나 추가 인허가 과정 없이 사업을 바로 추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는 게 삼성물산의 입장이다.

김명석 삼성물산 주택사업본부장(부사장)은 "조합원에게 약속한 사업 조건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삼성물산의 수많은 인허가 경험과 기술력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사업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