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한화시스템이 국내 방위산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독자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한국형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한화시스템은 서울대학교·카이스트·포항공과대학교·네이버클라우드 등 10여 개의 국내 대학과 AI 기업들과 '국방 AI 기술자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 전경. (사진=한화그룹)

소버린 AI는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통해 독자적으로 운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한 방산 분야에서 국내 기술로 'K-방산'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MOU를 맺은 국내 기관과 함께 대공방어를 위한 '미래형 전장 상황인식 AI모델'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우리 군이 실시간으로 위협을 분석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위협 분석·식별, AI 지휘결심 지원 등의 인공지능 모델과 의사결정 체계를 국내 기술로 최적화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대규모 협약을 통해 대한민국 자체 국방 AI 모델을 확보할 계획이다. 자주권과 직결된 국방·산업 안보에서 해외 의존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겠다는 목표다.

박성균 한화시스템 DE 사업단장은 "본 MOU는 단순한 기술 협력 수준을 넘어 국내 AI 기술의 독립과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출발점"이라며 "K-방산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위해 미래형 전장 기술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