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KT 고객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가 발생한 지 두 달 가까이 지났지만 사건의 실체는 아직 안개 속에 있다. 피해 규모는 더욱 커졌지만 범행에 필요한 개인정보가 어떻게 유출된 것인지 등은 아직 의문으로 남아있는 것이다. 위약금 면제 등 중요한 결정의 근거가 될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에 시선이 집중될 전망이다.
KT 주요 임원들이 지난 17일 기자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변동휘 기자)
20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17일 브리핑을 통해 피해 규모 확대를 재차 공식화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팸토셀) ID 16개가 추가로 발견됐으며 이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고객 수도 2200여명 확인된 것이다. 실제 피해가 발생한 고객도 6명 늘었다. 이번에 추가된 고객들의 피해 액수는 총 319만원이다.
용의자들도 검거됐지만 아직 사건의 실체는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상태다. 특히 이름과 생년월일 등 소액결제를 발생시키기 위한 개인정보는 어떻게 유출된 것인지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관련해 KT 측은 브리핑에서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불법 기지국을 통해서는 이러한 정보를 빼돌릴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피해 규모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조사 범위를 확대하자 추가 피해가 확인됐다는 점에서다. 브리핑에서도 추가 피해 가능성 대한 질문이 나왔지만 회사 측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분석을 총망라했다면서도 확답을 피했다.
고의로 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도 이어지고 있다. 사건을 축소·은폐할 목적으로 서버를 폐기했다는 내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에 대한 수사를 의뢰해 경찰에서 내사에 착수한 상태다. 지난달 청문회에서부터 이에 대한 질타가 이어진 만큼 21일 국정감사에서도 이에 대한 지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KT 측은 “대규모 전수조사에 시간이 소요된 점에 대해 거듭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조사 및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3차례에 걸친 브리핑에도 불구하고 의문점이 명확히 해소되기는커녕 피해 규모만 더 늘어나는 실정이다. 때문에 KT의 발표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사방해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지만 피해 규모만 확대될 뿐 사건 경위에 대한 명쾌한 설명은 없다는 점에서 답답함을 느끼는 이들이 많을 것”이라며 “이러한 부분이 결국 회사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에 촉각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이를 통해 사건의 경위가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위약금 면제나 과징금 등 후속조치 역시 이를 근거로 결정될 것이라 예상되는 만큼 어떤 결과가 나올지가 관건으로 지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