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최근 KT 및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해킹 사고를 들여다보기 위해 국회에서 청문회가 열렸다. 이날 여야 국회의원들은 KT의 초동대응과 조작적 은폐 의혹을 질타하며 김영섭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김 대표는 보안 및 관리부실을 인정했으나 축소·은폐 등의 의혹은 부인했다. 정부는 면밀히 조사해 필요 시 엄정 조치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영섭 KT 대표가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통신·금융사 해킹 사태 관련 청문회를 열었다.

이날 김영섭 KT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대표는 “무단 소액결제 등 여러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고객뿐만 아니라 전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걱정과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은 KT의 팸토셀 관리 체계를 지적했다. 20만개의 펨토셀을 운용하면서도 정작 관리를 소홀한 채 사실상 방치했다는 것이다.

같은 당 박정훈 의원도 이미 지난 2012년 펨토셀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음에도 이를 방치했다고 비판했다. 이혜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망실된 장비 3000여대 역시 잠정적인 불법 펨토셀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SK텔레콤의 경우 별도 인증기간을 두지 않으며 7일 이상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은 장비는 OFF 조치한다. 이어 3개월간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장비의 망 접속을 차단한다. LG유플러스는 인증기간을 2년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30일 이상 트래픽 미발생 시 차단이 이뤄진다. 그러나 KT는 인증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하고 있었으며 자동 차단조차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설치 이후 접속이 중단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등의 사항을 모니터링하고 회수도 진행해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허술했다”며 “관리 부실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불법 기지국 설비가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여전히 판매되고 있다며 관세청과의 협의 등을 통한 조치를 촉구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돌아보고 고칠 부분은 확실히 고치겠다”고 답했다.

조직적 축소·은폐 의혹도 제기됐다. 지난 7월 19일 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해킹 정황 통지를 받은 이후 서버를 폐기한 점에 대해 증거인멸을 의심한 것이다. 9월 1일 경찰로부터 사건을 통지받았지만 이를 무시한 점에 대해서도 여야 위원들의 추궁이 이어졌다.

관련해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조직적으로 증거인멸 범죄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황정아·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를 근거로 김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노 의원은 “이번 사고는 능력과 전문성의 문제가 아닌 조직이 망가졌다는 증거로 문제가 생기면 숨기려고 하는 음험한 조직문화가 KT 전체를 후진적이고 부조리한 기업으로 전락시킨 것”이라며 “빨리 거취를 표명하는 것이 고객에 대한 도리”라고 김 대표를 질타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도 “폐기된 서버의 경우 당초 1~2개월 병행 운용하다 8월 21일 폐기 예정이었다”며 “침해사고 원인분석을 위해 필요한 경우 관련 자료를 보존해야 하는데 증거인멸이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최초에는 침해가 아닌 스미싱으로 파악하고 있었고 처음 발표할 당시에도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사고건수가 85%라 그 일대라고 표현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과정에서 부적절한 조치는 있었지만 조직적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사실관계를 조사해 위법 사항이 확인될 경우 엄정하게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류 차관은 “사실관계 은폐나 고의성 등에 대해서는 명명백백히 밝히고 책임소재를 따질 것이며 현재 진행 중인 백업 로그 분석도 최대한 신속히 진행하겠다”며 “면밀히 조사해 조사방해 행위나 자료보존명령 위반등 규정 위반이 있었다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