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한국 조선업계가 2025년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제재를 계기로 수주 점유율에서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간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등에 따르면 올 1∼6월 한국의 조선 수주 점유율은 25.1%(표준선 환산톤수 기준)로, 전년 동기 17.2%에서 약 8%포인트 상승했다.

한국 조선업계가 2025년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제재를 계기로 수주 점유율에서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중국과의 점유율 격차도 51.0%포인트에서 26.7%포인트로 좁혀졌다.

이 같은 반등은 미국이 대중국 해사산업에 제재를 가하면서 컨테이너선 건조 수요 일부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상반기 국내 수주량의 절반 이상(53.3%)이 컨테이너선인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국내 조선업계가 대중 제재 반사이익을 토대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보고서는 "점유율 회복은 미중간 대립 구도에서 얻은 어부지리에 불과하다"면서 "약간의 시간을 번 정도의 기회로 여기고 중국과의 품질 격차를 벌리는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사들의 재무적 여력이 아직 크지 않고 조선산업의 국가 안보 차원 가치가 부각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