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삼성전자가 테슬라와의 23조원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통해 수조원대 적자에 시달리던 파운드리 사업의 반전 기회를 잡았다.

삼성전자는 28일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지난 24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 8년 이상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사진=픽사베이)

삼성전자는 경영상 비밀 유지를 이유로 계약 상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계약 사실을 공개했다.

머스크는 28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 계정을 통해 "삼성의 텍사스 신규 공장은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할 예정"이라며 "이 공장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현재 삼성은 AI4를 생산하고 있다"며 "삼성은 테슬라가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AI6는 2나노미터급 공정으로 제조될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능을 뒷받침할 핵심 반도체로 5000TOPS 이상의 연산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삼성전자 총매출 300조원의 7.6%에 해당하는 초대형 규모다. 반도체 부문 단일 고객 기준 최대급 계약이다. 그간 분기마다 수조원대 적자를 기록한 파운드리 사업에는 단비 같은 소식이다.

삼성 파운드리는 올 상반기 목표달성장려금(TAI) 지급률이 0%에 그쳤을 정도로 위기감이 컸다. 2분기에도 시스템LSI사업부와 함께 조단위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수주로 삼성 파운드리는 내년부터 가동 예정인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AI 반도체를 생산할 전망이다.

머스크는 "삼성전자의 텍사스 테일러 공장이 나의 집에서 멀지 않아 매우 편리하다"며 "생산 라인을 직접 걸으며 진척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26일 딜이 마무리된 것 같고, 시기가 아무래도 이재용 회장 복귀 후 최종 보고가 탄력을 받지 않았을까 싶다"며 "삼성 파운드리의 첨단 공정 수율이 개선되면서 대규모 수주가 가능해진 것으로 미국 테일러 공장 가동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