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KT가 공공 행정 AX 레퍼런스 확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KT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KT가 경기도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에 착수한다.

이번 사업은 총 131억원 규모다. 전국 광역지자체 최초로 행정업무에 생성형 AI 기술을 본격 적용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KT는 약 11개월 간 ▲한국어 특화 LLM ‘믿음 2.0’의 경기도 맞춤형 적용 ▲통합형 LLM 운영 플랫폼 ‘KT AI 스튜디오’ 제공 ▲행정 특화 AI 모델 기반 서비스 등을 구현한다. 경기도청 행정 시스템에 생성형 AI를 연계해 문서작성·회의관리·정보검색 등 실무 중심의 AI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KT를 포함해 엠티데이타·와이즈넛·코난테크놀로지·대신정보통신 등 5개사가 참여한다.

향후 KT는 공공 분야 생성형 AI 실증 사례를 축적해 광역지자체 단위의 행정업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믿음 2.0’을 기반으로 행정영역 자료를 적용해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업무 효율성과 국민들의 공공 정보 접근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대국민 AI 활용 보편화와 공공 분야 AX 혁신에도 나선다. 공공 AX 사업분야에서 입증한 AICT 역량을 발휘해 ‘모두를 위한 AI’를 구현할 계획이다.

특히 KT는 법률·안전·교육·의료 등 4대 분야에 범용 서비스 라인업을 갖춘다.  ▲AI 판례요약 및 법률상담 ▲범죄 예측 및 대응 ▲ AI 학습코치 ▲ AI 간호행정 서비스 등 실생활에 밀접한 영역에서 대국민 특화 서비스 구체화를 목표로 한다.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는 실질적 혁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 엔터프라이즈부문 공공사업본부장 유용규 전무는 “이번 사업은 대규모 지자체의 행정업무에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상징적인 사례로 단순한 모델 적용을 넘어 데이터 연계와 실무 지원까지 아우르는 디지털 행정 혁신의 중요한 기점”이라며 “KT는 앞으로도 ‘믿음 2.0’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실질적 니즈에 맞춘 AI 서비스를 확대해 대한민국 AI 전환을 선도하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