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DL이앤씨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드론 플랫폼을 주택 전 현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DL이앤씨가 드론 플랫폼을 통해 제작한 아크로 드 서초 현장 전경 (이미지=DL이앤시)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사물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다. 건설 분야에 적용하면 가상 공간에 현실의 쌍둥이 현장을 만들 수 있다. 공정·품질·안전 관리부터 설계·분양·유지보수 등에 활용 가능하다.

DL이앤씨는 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업 메이사와 손잡고 드론 플랫폼 개발과 디지털 트윈을 구축했다. 메이사는 국내 유일한 3차원 매핑 엔진을 보유 중이다. 양사는 드론을 활용해 건설 현장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정밀 분석한 후 정교한 디지털 트윈을 구현했다.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공기·공정별 현장 상황도 한눈에 3D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장 측정·기록에 더해 상황을 도면과 비교하면서 시공의 정확도를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적인 현장 관리 역시 가능하다.

철저한 원가 관리로 생산성까지 개선했다. 기존에는 토공량 산출을 위해 현장 반·출입 트럭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오차가 발생했다. 하지만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항공 촬영으로 토공량을 자동 산출해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L이앤씨는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시스템 고도화에도 나설 방침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품질과 안전 확보는 물론 생산성까지도 높일 수 있다”며 “업계 최고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건설 분야를 지속 선도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