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UN 간담회에서 실제 석포 거주 주민이 배제됐다는 이유로 봉화·태백·석포 주민들이 민변과 일부 환경단체의 절차를 공식 문제 삼았다. 주민들은 지역 여론이 왜곡된 채 UN에 전달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강원 영월군청 전략산업팀 관계자들이 ZLD 시스템 앞에서 석포제련소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영풍)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21일 민변에 공식 서한을 보내 UN 간담회에서 석포 주민이 배제된 경위에 대한 확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공투위는 환경단체가 회의실을 메신저로만 요청하고 주민에게는 알리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주민 60여 명이 위원장에게 영문 자료를 전하려 했지만 민변 측 제지로 결국 전달하지 못했다.

공투위는 이로 인해 UN에 주민 의견이 사실상 차단됐고, 환경단체 주장만 지역 여론처럼 비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영풍 석포제련소가 2019년 이후 환경 개선에 약 5200억 원을 투자해 수질이 기준을 충족하고 인근 하천에 수달과 다양한 어종이 나타나는 변화를 주민들이 체감하고 있다고 했다.

공투위는 제련소 이전 논의로 지역 경제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지난 9월 약 500명이 참여한 이전 철회 집회가 실제 민심이라고 강조했다.

공투위는 민변에 국제기구와 소통할 때 특정 단체에 치우치지 말고 주민 의견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했다.

더불어 민변·환경단체·주민이 함께하는 공식 간담회가 열린다면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