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카카오맵 위치공유 서비스가 가족 보호엔 유용하지만 일반 사용자까지 확대되면서 '편리함'과 '감시' 사이 줄타기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카카오맵 친구위치 기능 (사진=카카오)

1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맵이 지난 12일 '친구위치' 기능을 무제한 공유로 개편하면서 사생활 침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박영호 세종사이버대 정보보호학과 교수(국정보보호학회 제30대 회장)는 "위치공유는 가족이나 독거노인 등 특수한 경우엔 긍정적이지만 일반화하면 원치 않는 정보가 노출된다"고 밝혔다.

카카오맵은 기존 최대 6시간이던 위치공유 시간을 무제한으로 늘렸다. 사용자가 직접 공유를 끄지 않으면 위치가 계속 노출된다.​

이용자 반응은 엇갈린다. "치매 환자나 아이 위치 확인에 유용하다", "길치 친구들에게 좋다"는 긍정 반응이 나온다. 반면 "연인이나 회사에서 강요하면 거절이 어렵다", "감시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진다.​

카카오는 "이용자 동의 없이 위치를 볼 수 없고 언제든 공유를 중단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14세 미만은 부모 동의가 필요하며 오픈채팅방이나 100명 초과 단체방에선 사용할 수 없다.​

박 교수는 카카오의 서비스 확대 전략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카카오가 프로필 사진을 앞에 배치하는 등 사용자 머무르는 시간을 늘리려 한다"며 "보고 싶지 않은 정보를 보게 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충분한 보호조치가 있어야 서비스를 해야 한다"며 "너무 확대하면 소비자에게 외면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