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카카오맵 위치공유 서비스가 가족 보호엔 유용하지만 일반 사용자까지 확대되면서 '편리함'과 '감시' 사이 줄타기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맵이 지난 12일 '친구위치' 기능을 무제한 공유로 개편하면서 사생활 침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박영호 세종사이버대 정보보호학과 교수(국정보보호학회 제30대 회장)는 "위치공유는 가족이나 독거노인 등 특수한 경우엔 긍정적이지만 일반화하면 원치 않는 정보가 노출된다"고 밝혔다.
카카오맵은 기존 최대 6시간이던 위치공유 시간을 무제한으로 늘렸다. 사용자가 직접 공유를 끄지 않으면 위치가 계속 노출된다.
이용자 반응은 엇갈린다. "치매 환자나 아이 위치 확인에 유용하다", "길치 친구들에게 좋다"는 긍정 반응이 나온다. 반면 "연인이나 회사에서 강요하면 거절이 어렵다", "감시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진다.
카카오는 "이용자 동의 없이 위치를 볼 수 없고 언제든 공유를 중단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14세 미만은 부모 동의가 필요하며 오픈채팅방이나 100명 초과 단체방에선 사용할 수 없다.
박 교수는 카카오의 서비스 확대 전략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카카오가 프로필 사진을 앞에 배치하는 등 사용자 머무르는 시간을 늘리려 한다"며 "보고 싶지 않은 정보를 보게 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충분한 보호조치가 있어야 서비스를 해야 한다"며 "너무 확대하면 소비자에게 외면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