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이 (사)한국금융연구센터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이들은 우리 산업의 혁신 도모 및 역동성 회복을 위해 민간 벤처투자 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 14일 한국금융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 (사)한국금융연구센터(이사장 정운찬)와 함께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 민간 벤처투자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제15회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미지=하나은행)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 14일 한국금융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 (사)한국금융연구센터(이사장 정운찬)와 함께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 민간 벤처투자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제15회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는 40여명의 전문가와 금융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벤처시장 육성과 혁신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및 민간 부문의 과제를 모색했다.
한재준 인하대학교 글로벌금융학과 교수와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제1세션 에서 ‘벤처투자기구의 종합 평가와 향후 정책적 과제’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벤처투자시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금융과 민간자본의 역할 재정립 방안을 제시했다.
한 교수는 “벤처투자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전략적 재편, 민간자본의 적극적 참여, 제도적 유연성 확보가 삼박자로 작동해야 한다”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윤선중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한재준 교수는 제2세션에서 ‘모험자본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국내 벤처투자 구조가 RCPS(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갖고 있고 IPO 중심의 회수구조가 고착화된 점을 지적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방향을 제시했다.
윤 교수와 한 교수는 “기술보증기금이나 산업은행 등 공적기관이 일본의 INCJ(산업혁신기구)나 DBJ(일본정책투자은행)처럼 기술가치평가와 M&A 구조 설계를 통합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모험자본의 건전한 회수구조 정립은 단순한 투자 회수가 아니라 산업 혁신의 핵심 인프라 구축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승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제3세션에서 ‘민간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를 주제로 한국형 BDC 제도의 입법 경과와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윤 교수는 한국형 BDC가 미국의 BDC 제도를 벤치마킹해 도입된 폐쇄형 공모펀드로, 비상장 벤처ㆍ혁신기업에 장기 모험자본을 공급함으로써 민간 주도의 투자생태계를 구축할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BDC 제도가 시장 자율성을 일부 인정한 구조를 갖고 있어, 민간 자본이 혁신기업 성장과 스케일업 단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한국형 BDC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기능의 조화를 전제로, 운용보수 및 공시의 투명성 강화·경영참여형 투자 기능의 제도화·장기적 관점의 세제지원체계 구축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