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부산)] 게임업계의 성장을 지원했던 원로들이 지스타 현장에 모여 정책 발전 방향을 논했다.
한국게임정책학회는 14일 부산 벡스코에서 게임정책 공동 세미나 및 추계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한국게임정책학회 세미나 현장 전경 (사진=변동휘 기자)
이날 세미나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에 따라 기관 주요 인사들도 대거 참석했다. ▲서태건 게임물관리위원장 ▲유현석 콘진원장 직무대행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 ▲김현환 전 문체부 차관 등이 주요 내빈으로 자리했다.
기조발제자는 이용민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가 진행했다. 그는 업계의 주요 현안인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국내 도입 문제를 거론했다. 이어 주성호 한국콘텐츠진흥원 팀장은 인디게임 성장 지원 등을 논의했다.
이어 조현래 용인대 교수(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를 좌장으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정은송 문체부 사무관과 유승현 원더포션 대표, 김정태 동양대 교수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이재홍 한국게임정책학회장은 “우리 게임산업은 이제 청년 일자리 창출과 수출 활성화를 이끄는 핵심 성장 동력으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중요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면서도 “게임 진흥 정책이나 게임이용장애의 제도화 논란 등 제작 환경과 서비스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책적 현안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홍 한국게임정책학회장 (사진=변동휘 기자)
이어 “게임은 이미 재미를 넘어 스트레스 해소와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고 세대 간 소통을 돕는 긍정적인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제 우리 정책은 이러한 게임의 긍정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후에는 한국게임정책학회의 추계 학술대회가 열린다. 허준 신구대 교수는 AI 기반의 게임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신혜련 명지대 교수 및 이유철 연구원은 AI 에이전트 기반의 차세대 게임 플랫폼 모니터링 가능성을 조명한다.
이종배 게임물관리위원회 팀장은 등급분류 민간이양 현황을 설명하고 정책 제언을 할 예정이다. 공전영 동양대 교수는 e스포츠 발전에 따른 게임의 문화적 전환을 논한다.
종합토론은 최승우 한국게임정책학회 부회장을 좌장으로 반형걸 경희대 교수와 김원 김앤장 변호사, 조영기 한국인터넷협회 사무총장 등이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