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SK텔레콤의 AI 서비스 ‘에이닷’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SKT는 ‘에이닷’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9월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MAU 550만명을 기록한 지 1년 만에 2배 가까이 성장한 것이다.
‘에이닷’의 MAU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자료=SKT)
이는 ‘에이닷’ 앱·웹 450만명과 전화 및 B tv, 티맵 등 타 서비스 내 기능 이용자 550만명을 합산한 수치다.
SKT는 고객들에 편리한 AI 사용 경험을 제공하며 일상 전반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같은 결과는 자사가 추진해온 ‘AI 생태계 확장 전략’의 결실이라고 해석했다. 해당 전략을 토대로 ‘국내 대표 AI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는 것이다.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고객에게 일상 속에서 끊김 없는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에이닷을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전략이다.
MAU 1000만명 돌파를 이끈 배경에는 내부 서비스 고도화와 외부 플랫폼 적용을 통한 고객 접점 확대가 큰 역할을 했다.
올해 6월에는 ‘노트’와 ‘브리핑’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해 일상 속 활용 폭을 넓혔다. 실제로 서비스 출시 직후 한 달 만에 실사용자가 100만명 가까이 늘며 고객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특히 8월에는 4.0 업데이트를 통해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를 적용했다. 이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청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을 넘어 사용 기록과 대화 맥락을 기반으로 요청을 재해석해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계획·실행하는 최신 기법이다.
이를 통해 ‘에이닷’은 한층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업데이트 이후 MAU가 추가로 100만명 가까이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에이닷 전화’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다. 2023년 9월 안드로이드 버전의 ‘전화’ 서비스에 통화 녹음·요약 기능을 추가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iOS 버전에도 해당 기능을 추가했다. 2024년 10월에는 ‘T전화’에 에이닷을 결합한 ‘에이닷 전화’를 선보여 이용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B tv와 티맵 등 고객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랫폼에 에이닷을 탑재했다.
SKT는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AI 생태계 확장 전략’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9월 글로벌 일정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동명의 일정공유 플랫폼 앱에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SKT는 1,000만 MAU 달성을 고객의 일상 속에 한층 깊이 스며드는 전환점으로 삼고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내부 서비스 고도화 ▲외부 플랫폼 적용 ▲파트너사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에이닷을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