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CJ대한통운이 박스 쌓기 작업을 AI 로봇이 대신하며 물류센터 자동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CJ대한통운은 박스를 자동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인천GDC에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CJ대한통운은 박스를 자동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인천GDC에 도입했다. (사진=CJ대한통운)

이번 로봇 도입으로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됐던 파렛트 적재 작업이 자동화됐다.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 소비자의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다.

로봇은 AI비전으로 박스 크기를 실시간 인식한다. 각기 다른 도착지로 가는 여러 크기의 박스들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적재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이동형 설계다. 기존 고정형 팔레타이저와 달리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조로 설계돼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하나의 목적지로 가는 파렛트만 작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도착지로 향하는 물량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인천GDC에서는 1대의 장비가 2개 도시로 가는 출고 작업을 동시에 수행 중이다.

바닥 고정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동의 유연성도 크게 개선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장비에 자체 특허를 보유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적용했다. AI가 박스의 크기와 적재 가능 여부를 판단해 적합하지 않은 박스를 버퍼 공간에 임시로 놓아두었다가 가장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하는 방식이다.

회전형 구조를 적용해 공간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파렛트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율을 극대화했다.

구성용 CJ대한통운 자동화개발담당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물류 현장도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