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비현실적으로 높은 수도권 집값을 잡겠다고 추진한 이른바 6·27 금융 대책이 일부 효과를 내는 모습이다. 서울의 주요 지역에서 중위 거래가격이 떨어지는 흐름을 보인 것이다. 다만 거래량도 크게 줄었다는 점에서 평범한 가구의 내 집 마련을 포기하게 만들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후속 대책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 다세대 빌라들이 밀집한 주택가 모습 (사진=연합뉴스)
2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가격이 대책 전보다 약 1억6000만원 하락했다. 지난달 10일부터 지난 15일까지의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다. 6·27 대책은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며 6개월 이내 전입의무를 부과한 내용이 골자다.
살펴보면 대책 발표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는 6억6000만원, 전용면적 84㎡였지만 규제 이후 5억원, 전용면적은 75㎡로 작아졌다. 서울도 정체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낮아졌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준 것으로 집계됐다.
되레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우려된 강남 지역도 중위 거래가격이 29억원에서 26억원으로 3억원 감소했다. 또 이른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도 15억2750만원에서 12억2000만원으로 낮아졌다.
상대적으로 중저가 지역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에서의 풍선효과가 우려됐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지역에서 중위 가격이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직방 관계자는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과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는 흐름"이라며 "다만 거래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현상이기에 현재의 조정 흐름이 일시적 착시인지 구조적 전환의 신호인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거래량이 급감해 평범한 가구의 내집 마련이 어려워졌을 수 있다는 점이다. 수도권 거래량이 2만474건에서 5529건으로 낮아졌는데 특히 투기보다는 실거주자가 대부분인 지역까지도 크게 감소했다. 가령 구로구는 이 기간 298건에서 82건, 금천구 86건에서 23건, 노원구 539건에서 128건, 은평구 240건에서 84건, 강서구 375건에서 70건 등으로 대폭 줄었다.
사실상 실거주 목적자도 정부 규제에 내 집마련을 포기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투기 목적 지역에 강력한 규제는 필요한 시점이었다"면서 "다만 서울과 인근 지역에 대부분 인구가 몰려있는 상황을 고려해 투기 대표 지역이 아닌 그 외 지역에 대해서는 숨 쉴 수 있는 여지는 남겨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일단 투기 목적자를 잡기 위해 핀셋보다는 포괄적 규제를 택한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어느 정도 정리되면 부작용을 해소할 추가 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