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 기반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AI 헬스코치'를 올해 안에 미국에서 베타 버전으로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AI 헬스코치'를 올해 안에 미국에서 베타 버전으로 출시한다. (사진=삼성전자)
AI 헬스코치는 삼성 헬스 앱에 챗봇 형태로 탑재된다. 갤럭시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한 수면, 영양, 스트레스, 액티비티 등 4가지 건강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개인화된 건강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챗봇과 자유롭게 대화하며 건강 상태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다.
박 팀장은 "AI가 삼성 헬스의 4가지 지표를 분석해 건강 상태를 분석해줄 것"이라며 "사용자는 챗봇과 자유롭게 대화하며 개인화된 건강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인수한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젤스와 함께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추진한다.
젤스는 미국 내 500여개 병원과 70여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을 파트너로 보유하고 있어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전문 의료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
미국에서 먼저 출시하는 이유에 대해 박 팀장은 "원격의료에 대한 저항이 없기 때문"이라며 "미국도 최근 규제가 바뀌어 디지털 헬스케어를 확대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국내 출시 시기는 미국에서의 사용자 반응을 살핀 후 결정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삼성 헬스의 수익화도 본격 추진한다. 현재 제공되는 기본 기능은 무료로 유지하되, 향후 추가 기능 출시 시 구독이나 번들 등의 수익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젤스와 연계한 B2B(기업간거래) 수익 모델도 검토 중이다.
박 팀장은 "젤스 인수를 통해 다양한 B2B 수익 모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의료기관에서 AI가 간호사 대신 환자 상태를 체크하는 것도 규제가 허용되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날 테크포럼에는 마이클 맥쉐리 젤스 CEO, 라수 스레스타 어드보케이트 헬스 부사장, 짐 퍼슬리 힌지 헬스 대표 등이 참석해 AI 기반 헬스케어의 미래를 논의했다. 글로벌 미디어 300명도 행사에 참석했다.
패널들은 삼성 헬스가 질병 예방 중심의 '예방 의료'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맥쉐리 CEO는 "미국 가정의 70% 이상이 삼성 제품을 사용한다"며 "삼성의 기술력이 케어 품질을 높여 많은 사람이 오래 행복하게 살도록 도울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