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가계부채 급증에 따른 금융안정 리스크를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공동취재단)

한은 금통위는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2.50%로 동결했다.

한은은 작년 10월부터 완화 기조를 유지하며 올해 상반기까지 인하와 동결을 반복했다. 건설·소비 등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0.8%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기 부양에 초점을 맞춘 결과였다.

이번 동결은 금융시장 불안정 때문이다. 6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43% 상승해 6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가계대출도 지난달 은행권에서 6조2000억원, 금융권 전체에서 6조5000억원 급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수도권 지역에서 번져나가면 젊은층 절망감부터 시작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며 “미국 관세는 관세대로 올라가고 부동산 가격은 안 잡히면 금융안정과 성장 간의 상충 관계가 굉장히 나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디에 더 비중을 둬서 금리를 결정할지 금통위원 간에도 의견이 나뉠 것”이라며 “지금 상황에서는 언제 금리를 더 낮출지, 어디까지 갈지 미리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