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대선 전 식품·외식 기업의 가격 인상으로 물가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지면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올랐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달 외식 물가는 작년 같은 달 대비 3.1% 오르면서 3%대를 유지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올랐다.(사진=연합뉴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의 두 배를 웃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2%대로 올라섰는데, 가공식품과 외식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가공식품과 외식 외에 농축수산물의 소비자물가 기여도는 0.12%포인트였다.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에서 물가가 오른 것은 62개에 이른다. 특히 오징어채(48.7%), 양념소스(21.3%), 차(20.7%), 초콜릿(20.4%)의 오름폭이 컸다. 김치는 14.2%, 커피는 12.4% 각각 상승했고 맛김과 시리얼은 12.0%와 11.6% 올랐다.
라면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6.9%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 5월의 6.2%보다 높아졌다. 빵과 소시지는 각각 6.4% 올랐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커피, 차, 시리얼, 라면 등 가공식품 오름세에 대해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 순차적으로 반영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의 요청에 가격 인상을 자제하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장기간 이어진 정국 혼란기에 제품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 기업이 줄을 이었다.
동서식품은 대선 나흘 전 맥심 모카골드 가격을 올렸다. 6개월 사이 두 차례의 가격 인상으로 맥심 커피믹스 가격은 거의 20% 뛰었다.
라면 업체 중에선 지난 3월부터 농심에 이어 오뚜기, 팔도 등 주요 업체 대부분이 앞다퉈 100∼200원씩 가격을 올렸다.
롯데웰푸드가 8개월 새 두 차례 가격 인상을 단행해 일부 제품 가격을 42%나 올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만 해도 1.3%에 불과했지만 비상계엄 사태가 일어난 지난해 12월 2.0%로 높아졌고 올해 3월에는 3.6%로 뛰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4.1%, 5월 4.1%에 이어 6월 4.6%까지 석달 연속 4%대를 기록하면서 우상향하고 있다.
외식 물가는 지난 1월 2.9%에서 2월에 3.0%로 올랐고 5개월째 3%대에 머물고 있다.
식품·외식업체의 가격 인상은 최근에도 나타나고 있다.
노랑통닭은 지난달 23일 치킨 가격을 2천원 올렸다. 동원F&B는 이달부터 편의점 판매 덴마크 우유(가공유)를 5% 인상했다.
이디야커피는 오는 3일부터 아이스티 용량을 늘리면서 가격을 300원 올리고 베이커리 33종을 300원 인상한다.
다만 새 정부 출범 이후 가격 인상 사례는 정국 혼란기 때보다는 뜸해졌다. 이미 가격 인상을 단행한 기업들은 당분간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를 주시하면서 추가 인상은 자제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앞서 식품기업들이 가격을 올린 영향이 이제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면서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면서 "연초에 한 차례 가격을 올린 곳이 많기 때문에 물가는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