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최근 닌텐도 스위치2의 제품 결함 및 AS 관련 논란에 한국게임이용자협회가 팔을 걷었다.
한국게임이용자협회는 닌텐도 스위치2 제품 결함 및 AS 대응 문제 관련 피해 사례를 접수한다고 29일 밝혔다.
한국게임이용자협회가 닌텐도 스위치2 제품 불량 등의 사례를 접수받는다.
협회는 이달 닌텐도 스위치2 이용자 2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불만 사항들을 확인했다. 응답자의 72.8%(201명)가 크고 작은 하드웨어 결함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ZR/ZL 버튼 불량이 9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실제 사례들은 국내 게임 커뮤니티와 유튜브를 통해 다수 공유되고 있다. ZR/ZL 버튼 입력이 되지 않거나 눌린 채 고정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 외에도 조이콘2의 과도한 가격(정가 10만원 상당)과 일부 주변 기기와의 호환 불가 문제도 나타났다. 쿨링팬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소음 및 발열 현상과 기기 내 미세한 화질 이슈 등도 다수 제보됐다.
그러나 AS를 받기에는 비용과 판정 기준이 너무 불투명하다는 성토도 이어졌다. 결함을 경험한 이용자 중 41.3%는 실제로 AS를 신청하지 않았다. 이 중 51.8%(중복응답 기준)는 닌텐도의 공식 입장이 없다는 점을 주요 사유로 꼽았다.
일부 이용자는 고객센터로부터 출시 후 14일이 지나면 교환 기준이 나올 예정이라는 안내를 받고 기다렸다. 그러나 실제로는 14일 이전 접수분만 무상 교환이 이뤄졌다. 이후 건에 대해서는 무상 수리로 처리돼 혼란과 불만이 발생했다.
AS를 받은 이용자 중에서도 30.4%가 동일 증상 재발을 경험했다. 일부 제품에서는 교체 이후 새로운 결함이 발생한 사례도 확인됐다. 더불어 AS 과정에서 정상 판정이 나와 유상 청구를 받았거나 수리 이후 동일 문제가 반복될까 걱정된다는 의견도 상당수 제기됐다.
신뢰하기 어려운 품질 판정 기준과 불명확한 수리 정책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이 피해를 감내하거나 수리를 포기하고 있다는 것이 협회 측의 설명이다.
이에 협회는 한국닌텐도에 AS 대상 및 불량 판정 기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주요 결함 유형에 대한 원인분석 결과 및 대응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서비스 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불량 제품을 받은 이용자들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향후 접수된 사례와 이용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국내 이용자 보호를 위한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필요 시 소비자단체 및 관계 부처와의 협업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