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자료=각 사]
[한국정경신문=송정은 기자] LGU+가 5G 주파수 기지국 구축과 관련해 정부에 타사 대비 부족분 주파수를 추가 할당해 달라는 신청을 하자 경쟁사인 SKT와 KT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1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U+는 최근 정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5G 기지국 구축을 위한 3.4GHz~3.42GHz 대역의 20MHz폭에 대한 추가 할당을 신청했다.
이에 SKT와 KT는 2018년 경매 당시 가장 적은 돈을 낸 만큼 부여 받은 주파수를 이제 와서 별다른 이유 없이 추가로 부여하게 된다면 '특혜'를 의심할 수 밖에 없다며 공정한 경매 절차를 부정하는 행위가 있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2018년 주파수 경매 당시 SKT와 KT는 각각 1조2185억원, 9680억원을 내고 100㎒ 대역폭을 부여받았다. 한편 LGU+는 당시 8095억원에 20㎒ 적은 80㎒ 폭을 확보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LGU+측이 주파수 추가할당을 신청한 것은 최근 과기부와 통신 3사 간담회에서 나온 연말까지 농어촌 지역 5G 기지국 구축 때문인 것으로 안다"며 "농어촌 지역에 5G망을 이통3사가 공동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LGU+도 경쟁사들과 같은 대역폭이 필요했을 것이다. 또 최근 5G 품질을 둘러싼 소비자들의 소송 등이 이어지면서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얻는 것은 없고 비난은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고자 하는 방안으로 풀이된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2018년 당시 LGU+는 인접한 공공주파수의 간섭 우려 탓에 타사보다 적은 폭을 받은 것으로 안다"며 "현재는 추가할당을 요청한 20MHz폭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SKT와 KT측은 LGU+측이 추가할당 요청에 대해 경매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공동망 구축을 위해 같은 대역폭이 필요하다는 LGU+측의 주장에 대해 인구 밀집지역이 아닌 지역에는 80MHz 주파수 폭으로 충분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LGU+ 관계자는 "이번에 신청한 20Mhz 폭은 2018년 당시 경매 대상이 아니었다"며 "당시 정부측에서도 추후 추가 할당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임혜숙 과기부 장관과 이통3사 대표 간담회에서 올해 연말까지 통신 사업자들이 28GHz 5G 구축 실적을 정부에 제출하고 정부는 내년 초에 이행점검을 통해 향후 사업 시행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