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국정감사 막이 오른 지 나흘 동안 정치권이 쿠팡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쿠팡 측은 정치권의 여러 쟁점에 대한 개선 요구를 적극 수용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김범석 쿠팡Inc 의장의 국감 증인 불출석에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15일 국회 정무위원회는 김범석 의장의 불출석 사유를 두고 정당하지 않다며 오는 28일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라고 요구했다. 종합감사에도 김 의장이 출석하지 않을 경우 동행명령장 발부 및 고발 등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경고하기에 이르렀다.

김범석 쿠팡Inc 의장(사진=쿠팡)

쿠팡은 지난 15일 힘든 하루를 보냈다. 이 날 쿠팡은 농해수위 해양수산부 국감에서 박대준 쿠팡 대표가 참석해 배송비, 수수료 및 정산주기에 대한 질의를 받았다. 같은 날 환노위 국감에서는 정종철 CFS 대표가 참석해 노동 환경 및 처우 문제에 대한 질의와 날선 비판을 받아냈다.

이외에도 쿠팡 및 CPLB의 검색순위 조작 관련 첫 공판이 열렸다. 공정위는 가격 인상을 유도했다는 혐의로 쿠팡에 250만원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두 건의 법적 이슈도 치렀다.

국감에서 쿠팡의 수수료 구조 문제와 쿠팡이츠의 최혜대우 강요 의혹, CFS의 물류센터와 배송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 환경 및 산재 사망사고 논란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쿠팡 측은 국감에서 의원들의 현안 개선 요구를 적극 수용한다는 입장이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농해수위 해양수산부 국감에서 영세 농어민 부담을 가중한다는 지적에 “계속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찾아가도록 노력하고 정산주기는 더 개선하고자 금융기관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타사 수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정종철 CFS 대표는 환노위 국감에서 일용직 퇴직금 지급 기준을 변경했다는 비판에 “일용직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다시 원복(원상복구)하는 것으로 의사결정을 했다”며 “이른 시일 내에 그 부분(퇴직금 지급 기준 변경)에 대한 절차를 진행하고, 피해가 없도록 제반 사항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쿠팡의 개선 의지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은 김범석 의장을 국감장으로 불러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김범석 의장은 지난 14일 정무위 공정거래위원회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해외 거주로 인해 불출석 사유를 제출했다.

정치권은 “쿠팡은 온라인 플랫폼 업계에서 독보적 지위를 점하며 여러 현안들과 엮여 있다”며 지속적으로 김 의장의 출석을 외치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동행명령장 발부 등 법적 조치도 강행해야 한다는 언급을 내기도 했다.

쿠팡은 지난 14~15일 정무위, 산자위, 과방위, 환노위 등 4개의 국감을 치렀다. 남은 주요 국감 일정은 28일 정무위 종합감사다.

김범석 의장의 증인 출석 여부에 대해서는 쿠팡 측도 “아직 모른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김범석 의장이 그간 국감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증인 출석 가능성은 낮지만 정치권의 강경한 태도에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며 “한국 사업은 박대준 대표가 책임지고 있어 박대준 대표의 대리출석으로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