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다가오는 대선에서 주요 후보들이 제4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정책 방향성에는 다소 차이가 드러났다. 특히 현재 예비인가가 가장 유력한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의 사업계획과 후보별 공약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주목받는다.

19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각각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전문은행을 설립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왼쪽 사진)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자료=연합뉴스)

주요 대선 후보들이 모두 인뱅 설립을 공약하면서 제4 인뱅 예비인가 절차는 정책적 혼선 없이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후보별로 추구하는 인뱅의 성격이 달라 예비인가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후보는 취약계층을 위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기존 인뱅 3사가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미흡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금융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삼았다. 이 은행은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계층에 중금리 대출을 집중 공급해 포용금융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서민·소상공인 전문은행’ 설립을 약속했다. 신용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으로 분산된 서민금융 기능을 통합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 금융 취약계층이 보다 쉽고 빠르게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두 후보 모두 금융 소외계층(서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중·저신용자) 지원을 위한 새로운 전문은행 설립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기존 은행권의 독과점 완화, 금융 사각지대 해소, 포용금융 확대라는 큰 틀에서 유사한 방향성을 보인다.

다만 이 후보는 중금리대출에 초점을 맞추며 금융 상품과 서비스 자체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김 후보는 서민금융 기능의 통합 및 전문 지원 체계 구축에 방점을 두고 있다. 서민금융 지원 기관들 간의 연계와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특징이 있다.

제4 인뱅 예비인가를 심사 중인 한국소호은행·소소뱅크·포도뱅크·AMZ뱅크 등 네 곳의 컨소시엄 모두 두 대선 후보의 공약과 상당 부분 접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유력 후보로 꼽히는 한국소호은행의 경우 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시중은행과 OK저축은행 등 서민금융 특화 기관이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1·2금융권을 넘나드는 연계상품을 준비 중이다. 특히 여러 금융사에서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사업자나 신용평가에서 불리한 취약계층을 위한 ‘채무통합론’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이 후보가 강조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의 핵심 기능과 맞닿아 있다.

아울러 정부·지자체의 각종 지원금 및 대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신청 과정을 자동화하는 서비스, 소상공인 사업장 직원 대상 급여 정산 서비스 등은 김 후보의 서민금융 지원 강화 및 플랫폼 구축 공약과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다.

다만 한국소호은행의 주요 사업계획이 개인사업자(소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 후보가 강조한 ‘취약계층’의 범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통상 금융권 취약계층에는 개인사업자와 소상공인을 비롯해 금융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령층,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자, 금융 이력이 부족한 청년·경력단절 여성 등까지 폭넓게 포함하기 때문이다.

한국소호은행은 취약계층을 위한 개인금융 서비스로 소상공인 사업장 종사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금융 상품·서비스를 제시한 상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기존 제4 인뱅 설립 취지가 소상공인을 위한 특화 은행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주요 대선 후보의 공약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면서 “기존 내용에 취약계층 부분을 보완하는 등의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