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기대했던 외국인 복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재개 초기 공매도 거래대금이 크게 늘고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이 쏟아지기는 했지만 다행히 증시 하방 압력은 당초 우려만큼 강하지 않았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가 재개된 지난 3월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한 달여간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20조3649억원으로 집계됐다.

코스피 시장 (자료=연합뉴스)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8485억원 수준으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한 달간(10월 4일∼11월 3일) 일평균 7884억원 대비 약 8%가량 증가했다.

공매도 재개 첫날 1조7289억원이었던 공매도 거래대금은 지난 2일엔 6272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4월 초만 해도 1조원대를 쉽게 넘나들던 것이 월말 들어서는 6000억~7000억원대 수준으로 하향 안정됐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5년 만에 전 종목을 대상으로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시장이 가장 우려했던 것은 변동성 확대로, 재개 당일 공매도 비중이 코스피 15.7%, 코스닥 8.5%까지 증가하기도 했다"며 "다만 단기 공매도 오버슈팅은 진정 중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내 증시는 공매도 재개와 미국발 관세 정책 충격 속에서도 선방 중이다. 코스피 지수는 공매도 재개 직전일(3월 28일) 2,557.98에서 지난 2일 2,559.79로 소폭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는 693.76에서 721.86으로 4%가량 올랐다.

공매도 재개 이후 24거래일간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은 360개에 달하지만 이 역시 감소하는 추세다.

첫날인 3월 31일에만 43개 종목이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됐는데, 한 달 뒤인 4월 30일에 적출된 공매도 과열 종목은 17개에 그쳤다.

이달부터는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기준이 완화돼 지정 종목 수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변 국가들 대비 국내 경기가 부진한 것은 맞지만 매도 강도가 특히 셌던 것은 공매도 재개의 영향일 것"이라며 "공매도 재개의 영향은 한 달 정도면 반영됐을 것이고 관세 영향도 시장에 흡수된 것으로 보여 외국인은 5월에 주식을 대규모로 팔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