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지난해 5대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했다. 기업 집단의 매출은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삼성그룹이 매출액 331조8000억원을 기록해 전체 GDP의 13%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연합뉴스)

6일 관가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7000억원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의 78.8%를 차지하는 것이다.

'상위 대기업'이라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46곳의 매출액은 1833조1000억원으로 GDP 대비 71.9%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에 달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는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특정 기간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지는 가늠자로 볼 수 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8000억원으로 확인됐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의미다.

현대자동차그룹과 SK는 각각 279조8000억원, 205조9000억원이다.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원으로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