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中 의존도 낮춘다..넥스트 차이나 ‘베트남’ 사업 속도 붙나

젊은세대 인구 비중 높고 한국문화 관심 커 잠재력 상당
식약처, 베트남 보건부와 양자 협력회의 개최.."미진출 기업에 기회될 것"

김제영 기자 승인 2023.09.15 09:31 의견 0
한국 화장품을 구경하는 외국인 소비자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김제영 기자] 국내 뷰티업계가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해외 사업 다각화에 나서는 가운데 베트남 시장이 ‘넥스트 차이나’가 될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린다. 정부가 K-뷰티의 베트남 진출에 대해 지원 사격에 나서면서 수출이 활성화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산 화장품의 베트남 수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베트남 보건부 의약품청과 화장품 분야 양자 협력회의를 전날(14일) 개최했다. 이날 베트남 화장품 수출에 대한 애로사항 등을 듣기 위한 간담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베트남 시장은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성장성이 높은 신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은 중국이 1위지만 지난해 중국의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그 다음으로 큰 미국 시장은 0.2% 감소하며 선방했으나 뒤를 잇는 일본과 홍콩이 각각 4.9%, 31.8% 감소했다.

반면 베트남 수출액은 23.4% 성장했다.

베트남이 화장품 수출국으로 주목받는 건 성장 잠재력과 우호적인 환경 덕분이다. 베트남 시장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국 중 5번째로, 절대적인 시장 규모는 크지 않다. 그러나 시장 규모 대비 구매력이 높아 시장 규모 대비 성장세가 가파르고 다른 국가보다 한국 문화에 우호적인 국가로 꼽힌다. 인구 비중에서 젊은 세대의 비율이 높다는 점도 매력 요소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베트남 시장은 다른 국가에 비해 절대적인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심이 매우 높아 상대적으로 K-뷰티가 공략하기 수월한 시장 환경”이라며 “젊은 세대 인구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성장 잠재력도 높이 평가된다”고 말했다.

국내 화장품 업계는 해외 사업에서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뷰티업계 투톱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경우 중국의 매출 비중은 아시아 지역에서 절반을 넘어서는 핵심 시장으로 꼽혔다. 그러나 코로나19와 중국 봉쇄 등 영향으로 실적이 흔들렸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아모레퍼시픽의 아시아 지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1% 감소한 5541억원, LG생활건강의 중국 지역 매출은 6.7% 감소한 3773억원을 기록했다. 북미·중남미 지역의 매출은 성장하고 있지만 중국 시장이 여전히 부진하면서 성장세가 꺾이는 모양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으로 국내 화장품 업계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해외 시장 다각화를 이뤄낼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린다.

식약처는 이번 협의를 통해 베트남에 구비서류 등 수출 절차 요건을 완화하고 규제기관 간 정기 교류를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해외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베트남에 진출하지 않은 뷰티 기업의 경우 영역 확장의 기회를 넓힐 수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협력회의가 국내 화장품 안전관리체계의 우수성을 알리고 국산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 베트남 시장 진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아시아·남미 등 해외 화장품 규제기관과 협력을 확대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국내 화장품 기업이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LG생활건강은 1997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지 법인과 공장을 설립했고 아모레퍼시픽은 2000년대 들어서 자사의 주력 브랜드 중 하나로 꼽히는 ‘라네즈’로 베트남 수출을 시작했다. 현재 이니스프리, 바이탈뷰티 등 다수 브랜드로 이커머스 채널과 백화점 등에 입점한 상태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았지만 베트남 수출 절차 요건 완화 등이 이번 지원의 핵심이라고 한다면 현지 사업을 운영 중인 기업보다 진출하지 않은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현지 영업을 하고 있는 주재원 등 현업 관계자와 실질적인 협의가 진행된다면 규제 및 허가 절차에서 사업이 수월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