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1조4974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22.9% 감소했다. 사진은 LG트윈타워 전경. [자료=LG전자]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LG전자가 원자재 가격 안정화와 프리미엄 가전 판매 확대에 힘입어 1분기 '깜짝 실적'을 올렸다.

LG전자는 이 기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22.9% 감소한 1조497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잠정 공시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같은 기간 영업이익(6000억원)과 비교해 2.5배 웃도는 수준이다.

매출은 2.6% 줄어든 20조4178억원이다.

작년 1분기(영업이익 1조9429억원)에 일시적인 특허 수익(약 8000억원)이 포함됐던 점을 고려하면 사업 수익성은 10∼20% 강화된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LG전자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둔화에도 워룸 등을 선제 운영하며 사업 구조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사업 성과로 가시화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프리미엄 매출 중심의 성장 전략도 통했다.

더욱이 사업 구조 측면에서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비) 사업의 고속 성장과 기업간거래(B2B) 비중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LG전자는 "히트펌프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고효율·친환경에 대한 시장의 요구를 조기에 파악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공급했다"며 "볼륨존(가장 큰 소비 수요를 보이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품군을 강화해 가성비를 선호하는 트렌드에 대응하는 등 고객 가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도 견조한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고 부연했다.

이번 공시에 세부 사업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를 비롯해 모든 사업부가 흑자를 낸 것으로 추측한다.

가전과 TV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적극적인 재고 조정 이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와 프리미엄 가전의 비중 확대 ▲효율적인 재고 관리 ▲원가 개선 등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선진 시장 에너지 규제에 대응해 히트펌프 등 고효율 제품을 앞세운 기업간거래(B2B) 사업이 크게 확대된 점도 힘을 보탠 것으로 보인다.

'아픈 손가락' 전장 사업도 작년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한 데 이어 1분기에도 매출과 수주 모두 호조를 보이며 흑자 기조를 이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전망도 장밋빛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올해부터 경기 변화에 둔감한 B2B 매출 확대로 과거의 상고하저 실적 패턴에서 탈피해 분기 평균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달성이 예상된다"며 "LG전자의 B2B 매출 비중은 2020년 16%에서 2023년 32%로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하반기의 경우 가전과 TV 수요 회복 및 전장 사업부의 비용 감소 효과로 본격적인 이익 증가세가 가능할 것"이라며 "전장 수주잔고 측면에서도 높은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