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국회의원 총선거 출마를 위해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직을 내려논 김성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다시 해당 기관의 수장 후보에 오른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 전망이다. 전임 기관장의 지원과 관련해 불가하다는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지만, 먼저 기관을 내던진 수장이 다시 복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국민연금공단 사옥 (사진=국민연금공단)

김 전 의원은 국민연금 이사장 임명 당시 낙하산 논란이 있었고 총선 출마 과정에서는 국민연금을 선거에 이용한다는 의혹을 받았다.

10일 투자업계와 국민연금 등에 따르면 국민연금 이사장 1차 서류 심사 결과 양성일 전 보건복지부 1차관, 이용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용건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과 함께 김성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 김성주 전 의원은 앞서 16대 국민연금 이사장을 지낸 바 있다는 점에서 유독 주목받고 있다. 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규정상 기관장 재선임에 대한 내용이 없다는 점을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김성주 전 의원은 앞서 기관장으로 근무할 당시 임기 3년 중 10개월을 남기고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스스로 자리서 물러났다는 점이다.

기관장으로서 책임감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국민연금이 위치한 전주 지역에서 총선을 치른다는 점에서 기관을 이용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게다가 김 전 의원이 이사장 직에 오른 직후인 2018년 운용 수익률이 2008년 이후 첫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전문성 여부가 재점화되기도 했다. 당시 행정관료가 아닌 정치인 출신이 임명된 사례는 이례적으로 평가됐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이사장 선임과 관련한 그 어떤 내용도 알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는 내부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감지된다. 국민연금이 매번 정치적 갈등으로 홍역을 치룬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가령 박근혜 정부 당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경질됐던 문형표 보건복지부 전 장관이 수장으로 복귀한 바 있고,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김성주 전 의원이 임명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정치적 성향이 뚜렷한 인물이 기관장으로 오면서 국민연금은 매번 정치권, 사회단체, 언론의 질타를 받는 게 일상이었다.

국민연금에 근무하는 한 직원은 "다른 것보다 기관장으로서의 책임과 리더십, 전문성 등만 고려됐으면 한다"며 "최근 특별한 정치적 논란없이 최고 수익률을 내는 등 긍정적 분위기가 이어지는 흐름이 깨지지 않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공공운수노조 국민연금지부는 임기를 채우지 않고 중도 사퇴한 기관장으로 인해 기관 내부 운영의 불안정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