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SK텔레콤이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인프라 진화를 이끌겠다는 뜻을 밝혔다.
SKT는 3일 ‘SK AI 서밋 2025’에서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공개했다.
정재헌 SKT CEO가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SKT)
이날 정재헌 CEO는 키노트 연설을 통해 SKT의 AIDC 관련 주요 성과를 소개했다. 이어 AI 인프라의 나우 & 넥스트 전략을 발표했다.
SKT는 기존 AWS를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울산 AIDC를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제2·3의 울산 AIDC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자본의 투자를 유도하는 등 한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권과 경남에 이어 서남권까지 세 번째 AIDC 거점을 추진한다. 관련해 지난달 SK그룹은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에너지 특화 AIDC 솔루션을 앞세워 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동남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그룹 멤버사의 글로벌 사업과 연계해 독자 기술을 집약한 AIDC 구축을 추진하며 향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SK이노베이션과 함께 베트남 사업을 추진한다. LNG 발전소를 통한 안정적 전력확보에 더해 냉열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에 활용한 AIDC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AI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울 ‘에지 AI’와 지능형 통신망 기술 ‘AI-RAN’에도 힘을 싣는다.
SKT는 에지 AI를 빠르게 구현하기 위해 AWS와 R&D 협력 기반을 구축했다. SKT가 가진 국내 시장 이해도와 인프라에 AWS의 클라우드·AI 기술을 활용한 에지 AI 상용 테스트 등 중장기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엔비디아 및 정부, 학계 등과 AI-RAN 기술의 공동연구 및 실증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어 SKT는 엔비디아로부터 RTX PRO 6000 GPU 2,000여 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 CEO는 AIDC 사업에서 기존의 역할을 확대해 설계·구축·운영 등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종합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협력해 AI 인프라의 핵심 기술 영역을 내재화한다. ‘AI DC 솔루션 패키지’ 제품화가 목표다.
한편 지난 1년 동안 SKT는 ▲AWS와의 울산 AIDC 구축 계획 발표 ▲B200 기반 국내 최대 GPU 클러스터 ‘해인’ 구축 ▲과기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선정 ▲에이닷 가입자 1000만명 돌파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