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종합금융그룹 재도약을 위한 내부 통합을 마쳤다.

우리은행은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퇴직직원 동우회가 합병 26년 10개월 만에 ‘우리은행 동우회’로의 통합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3일 서울 효자동 우리동우회 사무실에서 열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에서 우리은행 전현직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 다섯 번째부터)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강원·유중근 우리동우회 공동대표, 정진완 우리은행 행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은 이날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새롭게 단장한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통합 동우회의 공동대표를 맡은 강원·유중근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역사적인 통합을 축하했다.

동우회는 퇴직직원 간의 친목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율적 모임이다. 1970년대에 상업은행, 한일은행에서 각각 설립된 동우회는 1999년 두 은행의 합병 이후에도 통합되지 않은 채 26년간 별도로 운영돼왔다. 이로 인해 현직 시절 함께 근무했던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출신 은행에 따라 다른 동우회에 속하는 형태가 유지됐다.

하지만 합병 후 입행한 이른바 ‘통합세대’의 퇴직 시기가 도래하면서 동우회를 하나로 묶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돼 이번 통합이 성사됐다.

양 동우회는 올해 1월 초 통합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약 10개월간 기존 단체 해산 및 통합 동우회 설립 절차를 순조롭게 마무리하며 진정한 의미의 ‘우리은행 동우회’를 완성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이번 동우회 통합은 우리금융이 은행·증권·보험 등 포트폴리오를 갖춘 종합금융그룹으로 재도약하는 데 있어 화학적 결합을 완성하는 중요한 연결고리”라고 밝혔다.

이어 “출신은행 기반의 계파 갈등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내부 통합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는 비은행 부문 확대 전략과 맞물려 그룹 경쟁력을 더욱 견고히 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