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영풍 석포제련소 주변 하천 수질이 ‘청정’ 수준을 회복했다. 대규모 환경투자와 설비 혁신이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진 셈이다.
영풍 석포제련소 무방류시스템 전경 (사진=영풍)
29일 기후에너지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일대 ‘석포2’ 지점의 수질 지표가 최근 측정에서 법적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지난 8월 조사 결과 용존산소 8.9mg/L,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1.3mg/L, 화학적산소요구량 4.4mg/L로 1~2급수 수준이었다. 카드뮴·비소·수은·구리 등 주요 중금속은 검출 한계 미만이고 아연 농도는 0.0145mg/L에 불과했다.
석포제련소 상·하류 4개 수질측정망에서도 오염물질이 일제히 ‘검출 불가’로 나타났다. 상류(석포1)와 하류(석포2~4)의 수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 일대에서는 최근 수달이 다시 서식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영풍은 2019년 ‘환경개선 혁신계획’을 세운 뒤 지금까지 4400억 원을 투입했다. 폐수 무방류(ZLD) 시스템을 세계 제련소 최초로 가동하며 공정수와 지하수를 100% 정화·재활용 중이다. 낙동강 수계로의 오염물질 배출은 전면 차단됐다.
지하수 확산 방지시설도 강화했다. 제련소 하부 1만7000평 구역에는 3중 차단 구조를 설치했다. 외곽 3km 구간에는 지하수 확산 차단 설비를 구축했다. 일평균 450톤가량의 지하수를 정화해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고 있다.
영풍 관계자는 “과거 오염 논란을 넘어 환경개선 성과가 수치로 입증됐다”며 “2030년에는 친환경 제련의 모범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