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부동산 시장에서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떠오르는 분위기다. 분양가 상승 여파로 자금 부담이 심해졌고 당첨되려면 로또수준 경쟁률을 뚫어야 해서다.
10.15 부동산 대책 이후에는 서울 전역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중도금 대출마저 40%로 제한됐다. 이에 일각에서는 서민들의 청약 문턱이 높아져 가입자 수 감소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체 청약통장의 가입자 수가 1년간 약 44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634만9934명이다. 전월 대비 약 2만3000명 감소했다. 조성액은 4년간 9조원가량 줄었다. 서울 등 인기지역 분양가와 경쟁률이 계속 상승하며 통장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어서다. 특히 부동산 규제로 중도금 대출이 제한돼 기존 가입자들의 이탈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작년 9월과 비교한다면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약 44만명 줄었다. 특히 지난 1년 중 올해 3월과 8월을 제외하곤 매월 감소하는 흐름을 보여왔다. 가입자 이탈은 분양가 상승에 더해 서울과 인기 지역의 높은 경쟁률 때문에 가점을 갖춰도 당첨되기 힘들어진 영향으로 보인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의 청약 경쟁률은 133.45대 1을 기록했다. 1년 전 104.23대 1이던 것과 비교해 28.03% 높아진 것이다.
가입자 수 이탈은 청약 조성액 감소로 이어졌다.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청약 조성액은 14조8000억원으로 확인됐다. 2021년 23조1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신규가입자가 해지자보다 더 적다는 점도 파악됐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해지자가 가입자보다 많았다.
문제는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가입자 감소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 높다는 것이다. 정부는 10.15 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수도권 12곳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아파트 중도금 대출 담보인정비율(LTV)은 기존 60%에서 40%로 조정됐다. 1순위 청약 조건도 2년이상 가입자로 제한된다.
올해 서울에서 공급된 전용면적 84㎡타입의 분양가는 대부분 15억원을 상회했다. 변경된 중도금 대출 제한을 적용한다면 약 3억원을 현금으로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서울 국민평형(84㎡) 분양을 기대하는 것마저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실수요자들이 청약에 당첨되거나 잔금을 납부하는 게 너무 어려워졌다”며 “결과적으로는 가점제에서 불리한 청년 층 이탈이 10.15 대책 이후 더 빨라질 것 같다”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대출규제로 내집 마련을 꿈꿨던 이들의 부담만 늘어났다”며 “그럼에도 가격 부담이 덜한 공공분양 등을 노려볼 수 있는 만큼 무주택자 입장에서는 통장을 유지하는 게 장기적으로 더 도움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