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T의 소액결제 사고 대응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김영섭 대표는 관리 부실을 인정하며 혁신하겠다고 답했다.

김영섭 KT 대표가 정무위 국감에 출석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4일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정무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 대표에게 소액결제 피해 사고에 대한 경영상 도의적 책임을 언급했다.

그는 8월 5일 최초 피해 발생 이후 9월 1일 경찰이 피해사실을 통보했다. 그러나 KT는 이를 부인한 뒤 다음날 소액결제 차단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피해 여부를 확인하려는 고객에게는 개인정보 유출이 없었다고 안내했다.

김 의원은 “‘때리긴 했지만 폭행은 아니다’ 같은 느낌”이라며 “이런 식으로 굉장히 무책임한 대응으로 일관했고 고객들이 피해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도 굉장히 복잡하고 까다로웠다”고 비판했다.

전체 고객에게 사고 발생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점도 문제 삼았다. SKT는 유심정보 유출과 관련해 전 고객들을 대상으로 메시지를 발송했지만 KT는 피해자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전체 고객에게 다 보내면 상관없는 고객들도 불안해할까 걱정했다”고 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그것은 대표가 아닌 고객이 판단하는 것”이라며 “이를 선제적으로 판단한 것 자체가 굉장히 무책임한 대응을 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김 대표는 “관리를 잘하지 못했고 사전 예방 조치 등도 미흡해 국민과 고객들을 불안하게 한 점에 대해 정말 죄송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혁신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