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KT가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도심항공교통(UAM) 운영 역량을 입증했다.

KT는 국토교통부로부터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KT가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얻었다. (사진=KT)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진행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통합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관제 시스템 연동 등 주요 기술 요소를 검증했다.

또한 UAM 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장비와 인력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고도화된 기술력과 운영체계를 갖춘 점을 인정받아 국토교통부로부터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하게 됐다.

이번 자격 획득으로 KT는 국내 UAM 상용화 추진을 위한 핵심 주체로 도약하게 됐다. 도심항공교통법상 실증사업자 지위를 획득한 기관은 실증 성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UAM 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다. 이는 향후 K-UAM 상용화 로드맵에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오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에서 청라까지 이어지는 아라뱃길 구간에서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을 시행한다. 이번 실증에는 현대자동차·현대건설·인천국제공항공사·대한항공이 함께 참여한다. 국내 최초로 도심 환경에서 5G 항공망을 기반으로 한 UAM 운용 시스템의 통합 운용성 점검이 이뤄진다. 다양한 비정상 운항 상황에서 여러 이해관계자 간 통합 대응 능력을 검증하는 것이 이번 실증의 핵심이다.

통신 장애, GPS 신호 불안정, 기상 악화, 기체 이상 등 돌발상황을 가정해 실시간 판단 및 통제 기능이 적절히 작동하는지 중점적으로 시험한다. 기존 음성 기반의 비행 허가 절차를 자동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전환해 고밀도 운항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운용 체계를 실증한다.

KT는 한국형 UAM 운용 개념과 e-VTOL 비행체의 비행 역학 모델을 반영한 자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했다. 통신 두절, GPS 오류, 기상 변화 등 다양한 돌발상황을 가상 환경에서 재현해 기체와 교통관리체계 간 연동 대응 절차를 사전에 점검한다.

이외에도 KT는 5G 항공망 기반 초정밀측위기술(RTK-GNSS)을 기존 항공교통감시체계인 ADS-B, MLAT 기술과 연계한다. 비협력 비행체 감시와 GPS 두절 상황 시 감시 등의 상황에서 저고도 공역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교통감시 체계를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UAM 운항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를 관계 기관과 공유하는 통합정보교환체계도 함께 실증한다. 이를 통해 상용화 초기 시점부터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방침이다.

KT는 운항 경로 전반에서 5G 항공망을 통한 통신 품질의 안정성도 검증할 계획이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Experience Engineering본부장은 “KT는 국토부의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하며 국내 UAM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확보했고 K-UAM 원팀 5개사와 협력해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며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에 앞장설 시스템과 기술을 지속 고도화해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