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정부가 SK텔레콤의 해킹 사고를 계기로 국가통신망에 대한 직접 점검에 나선 모습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SKT 해킹 사건을 조사 중인 민관합동조사단은 최근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한 직접 조사에 착수했다.
SKT 고객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대리점 앞에서 줄을 서 있다. (자료=연합뉴스)
조사단은 SKT 서버 점검에 사용했던 백신을 두 통신사에 적용해 감염 여부를 살피는 중이다. 해당 백신은 BPF도어 악성코드 변종 202종을 탐지할 수 있다.
당초 정부 측은 통신사 및 플랫폼 기업들에 대해 자율점검 기조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국가기간통신망을 겨냥한 조직적 공격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자 직접 점검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SKT 서버를 공격한 해킹 집단이 타 통신사에도 사이버 공격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 것이다.
전수조사가 이제 막 시작된 만큼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재까지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별개로 두 통신사는 자체 점검을 병행하고 있다. 해킹 피해 발견 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유관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현재까지 해킹 공격을 받은 SKT 서버는 총 23대이며 그 중 8대에 대해서는 포렌식 등 정밀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SKT 해킹 사고 이후 통신사 및 플랫폼 기업의 보안 현황에 대한 점검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