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2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가 65.7점으로 전년도 조사(65.5점)보다 0.2점 상승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우리나라의 양성평등 수준을 가늠할 있는 국가성평등지수가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는 65.7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조사(65.5점)보다 0.2점 상승했다.

성평등지수는 3대 목표·7개 영역·23개 지표에 걸쳐 남녀의 격차(gap)를 측정한다. 완전한 평등 상태는 100점, 완전 불평등 상태는 0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영역별 성평등 수준으로는 교육(95.4점), 건강(92.4), 양성평등의식(80.0), 소득(78.5), 고용(74.0), 돌봄(31.4)·의사결정(30.7) 등 순이었다.

교육과 건강, 돌봄과 의사결정 영역 간에 큰 격차가 나타났다.

세부 지표별로는 평균 교육연수 성비가 2021년 조사 90.6점에서 0.3점 오른 90.9점,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이 82.7점에서 1.9점 상승한 84.6점으로 파악됐다.

고용률도 같은 기간 76.7→78.0점, 경력 단절 여성 비율 82.6→82.8점, 정규직 비율 76.2→77.8점으로 개선됐다.

반면 의사결정 영역의 장관 비율(38.5→20.0점)은 전년보다 크게 떨어져 최하점을 기록했다. 관리자 비율(25.8→22.5)도 하락했다. 가사노동 시간·육아휴직 사용·노인 돌봄 분담은 각각 30.7점, 31.7점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연도별 국가성평등지수는 2017년 72.0점, 2018년 73.1점, 2019년 73.9점, 2020년 74.9점, 2021년 75.4점, 2022년 76.0점으로 매년 상승세를 그렸다.

기존 지표에 따른 17개 지역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상위에는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가, 하위에는 울산·전남·경북·경남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