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정부가 공공부문 AI 서비스 도입을 본격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정부 구현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제62차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 업스테이지의 AI 워크스페이스 등 총 6건을 디지털서비스 융합서비스로 선정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요약표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클라우드컴퓨팅법 제20조에 따라 2020년 10월 신설된 제도다. 국가기관 등이 이용하기 적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심사·선정해 수의·카탈로그 계약 방식으로 신속·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약 3개월가량 소요되는 기존 조달 절차에 비해 계약 기간을 약 2주 내외로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공공에서 필요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기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도입 이후 현재까지 632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선정됐으며 685개의 국가기관에서 1964건(약 6421억원 규모)의 계약이 체결됐다. 공공이 민간 클라우드 혁신기술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적 기반이 되고 있다.
이번 심사위원회는 행정·교육·보건 등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AI 활용 필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공공부문에서 관련 서비스를 먼저 도입하고 확산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마련됐다.
현재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는 이번에 선정된 6종을 포함해 총 17개의 융합서비스가 등록된다. 향후 국가기관 등에서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수의계약으로 도입해 다양한 망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융합서비스에는 ▲디지털트윈 시각화 ▲공공 클라우드 기반 정보시스템 보안 지원 ▲생성형 AI 기반 문서 자동화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앞으로 공공기관은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이러한 서비스들을 더 쉽고 빠르게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는 대한민국의 미래이자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공공의 선제적인 서비스 도입·확산을 통해 국민께 더 나은 행정과 생활 편익을 제공하고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힘차게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