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건설업 종사자 수가 1년 만에 8만3000여명 줄었다. 일자리 회복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건설사를 규제하기 시작한 후 감소 추세가 이어져 이를 보완할 정책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대책이 없으면 근로 취약계층인 일용직 노동자들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일하는 모습(기사와 직접 관계 없음, 사진=연합뉴스)

27일 고용노동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건설업 종사자수는 136만1000여명이다. 1년 전(144만4000여명)보다 8만3000명 줄었다. 전달(7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7만9000명 감소한 규모보다 더 커졌다.

1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수도 8월 기준 191만명으로 같은달 기준으로 2025년 185만명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올초 200만명이 깨져 192만명에 그친 건설업 취업자수는 차음 반등해 5월 기준 196만명으로 회복했지만 정부의 이른바 6·27 규제 이후인 7월 192만2000명으로 증가세가 꺾였다.

정부는 6월 27일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부동산 규제를 발표했다. 당시 내집 마련을 위한 대출 한도가 줄면서 분양 시장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이 규제가 일자리 측면에서 부작용으로 작용한 셈인 데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이달 15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으로 규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악재가 겹쳤다는 평가다.

게다가 정부가 산업재해에 대한 강경한 규제를 예고하고 있어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겨울철 현장 작업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당분간 일자리 충격이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문제는 일자리 감소 배경에 고용 취약계층인 일용직 노동자들이 대거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고령화가 이어지고 자동화 시스템이 늘면서 일부 감소한 측면도 있지만 시장 침체 상황에서 정부의 각종 규제가 한 몫했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집값 상승 억제와 안전한 일터를 위한 규제를 내세우는 것은 공감하지만 지나치게 규제 측면에서만 접근하는 느낌이 강하다"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균형감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