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이번 국정감사는 대기업 총수를 줄줄이 불러세우던 관행이 달라질 지 주목된다. 민주당은 한미 관세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기업의 역할을 고려해 무분별한 기업인 국감 병풍 세우기를 자제하자는 의지를 다졌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오는 13일부터 시작되는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를 사흘 앞두고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기업 오너·대표의 증인 출석 최소화 원칙을 재확인했다.

국정감사 증인채택 관련 브리핑하는 김병기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앞서 민주당은 한미 관세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기업의 역할을 고려해 대기업 총수를 줄줄이 불러세우던 관행을 지양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감 증인·참고인 3대 원칙을 발표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감에서 재계 증인을 최소화하고 특히 오너·대표들에 대한 출석을 최소화하겠다”며 “여러 상임위의 중복 출석을 최대한 지양하고 시간을 정해 집중 질의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상임위에서 동일하게 (증인·참고인으로) 채택된 분들이 있는데 제일 관련 있는 상임위에서 집중 질의하도록 하겠다”며 “또 (오후) 2∼4시 등으로 시간을 정해 무한정 대기하는 관례를 최대한 없애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꼭 참석할 필요 없는 대표나 오너를 불러 그런 걸 할 필요가 없겠다고 생각해서 최대한 조정하려고 한다”고 부연했다.

앞서 정무위는 계열사 부당 지원과 관련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행안위는 하청업체인 이수기업 노동자 집회와 관련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산업위는 온라인 플랫폼의 소비자 정보보호 실태 점검차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을 각각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 가운데 대한상의 회장인 최 회장의 경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공식 부대 행사인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의장을 맡고 있다. 정무위 국감 출석일(28일)이 APEC CEO 서밋 개막일과 겹쳐 이번 국감 증인에서 제외될 지 관심이 쏠린다.

문진석 원내수석은 최 회장이 출석하는 국감일이 APEC 일정과 겹친다는 지적에 “그런 것들을 고려했다”며 “현안이 아닐뿐더러 다른 실무자가 와서도 충분히 답변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대표를 불러 앉히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