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투자자들이 자국 거래소를 떠나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의 배경으로는 일본 정부의 엄격한 규제 환경과 국내 거래소 서비스의 한계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은 2017년 자금결제법 개정 이후 금융청(FSA)의 감독 아래 JVCEA(일본가상자산거래소협회)가 가상자산 거래소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JVCEA의 엄격한 규제하에서 거래소들은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통과해야 운영할 수 있다. 2025년 현재 공식적으로 등록된 거래소 수는 23곳에 불과하다. 또한 거래 가능한 가상자산 종류도 40종 내외로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선택의 폭이 매우 좁아졌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일본 투자자들은 더 다양한 가상자산 선택권과 마진, 선물 거래 등 폭넓은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 거래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시밀러웹 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비트겟, MEXC 등 해외 거래소의 국가별 접속률에서 1위를 기록했다. 바이비트 이용률에서도 상위 5개 국가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 내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투자 옵션과 신규 가상자산 상장 기회가 해외 거래소로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준다.
코인게코와 크립토노미스트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의 거래량과 웹 트래픽은 전 분기 대비 16~21% 감소했다. 반면 일본 투자자들의 해외 거래소 이용률은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본 투자자들의 해외 거래소 이동은 더 이상 단기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투자 트렌드로 굳어지고 있다.
결국 일본의 사례는 지나친 규제와 서비스 한계가 오히려 국내 투자자를 해외로 내보내는 역설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와 규제 당국은 투자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현실적이고 유연한 규제 정책을 마련하여 국내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투자자와 시장의 목소리에 보다 적극적으로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