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즐거워야 할 추석 명절 건설노동자들은 하반기 일자리 걱정이 앞선다. 경기침체로 현장 일거리가 줄어든 상황에서 하반기 각종 규제로 근로 조건이 더 까다로워질 것이 우려돼서다. 일각에서는 안전지침을 따르지 않는 노동자도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건설 노동자 (이미지=연합뉴스)

4일 건설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건설업 일자리는 약 191만 개로 1년 새 13만 개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201만 개)보다도 적은 규모다. 경기 침체가 이어진 상황에서 국내 건설 경기가 살아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히 현장에선 사고 예방 차원에서 사전 노동자의 건강체크가 강화되면서 일자리가 더 줄어들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사회 취약계층인 일용직 노동자의 일거리다.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감이 감소했다는 것으로 대부분 일용직 노동자가 타격을 받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건설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은 2021년 6%대 수준에서 최근 3%대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건설사들은 신규 수주보다 현상 유지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상황은 더 악화할 전망이다. 최근 정부가 산업재해에 대해 칼을 꺼내 들면서 건설업계는 하반기 신규 수주에 더 신중한 모습이다. 사고를 막기 위해 공사기간을 여유롭게 잡으려고 하면 인건비 증가 등으로 공사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는 분양가에 민감한 지역의 경우 사실상 수주가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이같은 악조건이 이어지면서 명절에도 일거리를 찾는 노동자들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가족과 함께 쉰다는 의미보다는 하루 하루 삶을 버티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경기 광명지역의 한 건설 노동자는 "명절에도 일할 수 있는 소규모 작업장을 찾고 있다"며 "몇년전만 해도 현장이 끝나면 바로 다른 곳으로 이동해 일했었는데 최근에는 사실상 공백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다. 현장 일거리가 있어도 일하지 못하는 상황도 우려된다. 최근 한 건설현장에서 노동자 사망사고가 있었는데 당뇨 등 기저질환자였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 때문에 건강 체크 기준이 강화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노동자가 사망하면 현장 중단 등으로 피해를 보기 때문에 노동자의 건강체크 기준을 높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노동자 사이에서도 노동자 책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안전지침을 알렸음에도 이를 지키지 않고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건설현장 노동자는 "회사가 안전지침을 제대로 교육하지 않아 발생한 사고는 당연히 회사가 책임져야 한다"며 "다만 현장에서 안전지침을 충분히 알렸음에도 여전히 이를 무시하는 노동자들이 있고 이로 발생한 피해는 아이러니하게 같은 노동자들이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다른 현장 노동자도 "사고를 막는다며 혈압 기준 등이 더 강화될 것 같은데 대부분 연령대가 높은 일용직 노동자들은 일하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젊은 외국인만 현장에서 살아남게 될텐데 정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회사와 노동자가 공존하는 대책을 마련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