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LG CNS가 자체 개발한 AI 기술과 5G 코어 솔루션을 앞세워 5G특화망 시장 선점에 나선다.
LG CNS는 23일 AI 기술을 활용해 고도화된 5G특화망(이음5G) 사업 확대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회사는 기존 5G특화망에 ‘AI 기반 지능형 무선망 기술’을 결합한다. AI-RAN은 AI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의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이다. 데이터 전송 오류율을 10% 이상 낮추는 등 통신 품질을 대폭 강화해 6G를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LG CNS는 이 같은 AI-RAN의 성능과 효율성을 한 단계 강화한다. 5G특화망 기반으로 현장에서 운용되는 로봇이나 AI CCTV 등은 AI 분석·추론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고용량의 서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AI 분석·추론용 서버와 네트워크 서버를 별도로 운영했어야만 했다.
LG CNS는 강화된 AI-RAN 기술을 통해 서버를 하나로 통합, AI와 네트워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고도화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데이터 통신 지연을 대폭 줄이고 서버 구매 비용은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LG CNS는 국내 공항 한 곳에 AI 기반 5G특화망을 구축해 AI CCTV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AI CCTV는 일반인 제한구역 등 통제구역에 외부인이 들어왔을 경우 AI가 외부인의 침입, 이상행동 등을 자동으로 감지·분석해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보안장치다.
단순히 특정구역을 촬영하는 CCTV와 달리, 고화질 영상을 빠르게 서버로 전달하고 이미지 검사 및 데이터 추론 등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화된 5G특화망이 필수다.
LG CNS는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공항의 특성에 맞춰 사용자정보 암호화, 불법접속차단 등 정보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네트워크 보안 체계도 구축한다.
LG CNS는 공항 외에도 공공기관, 건설현장, 산업단지, 데이터센터, 학교, 연구기관 등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5G특화망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인천국제공항에 ‘다기종 로봇 제작 및 5G 디지털트윈 관제 구축사업’을 수주해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공항에서 안내/순찰, 셀프체크인, 도슨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운영에 필요한 5G특화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LG CNS는 2022년부터 기간통신사업자 자격을 부여받아 국내 5G특화망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간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 등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망독점과 이로 인한 경쟁부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사에 5G특화망 기간통신사업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다.
LG CNS 관계자는 “AI 기반 5G특화망 등 6G 시대의 핵심이 될 AI 융합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시장을 선점하고 고객에게 AX혁신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