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한화시스템이 지상 400km 이하 궤도에서 생수병과 휴대폰까지 식별 가능한 ‘초저궤도 초고해상도 SAR 위성’을 선보였다.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를 구현한 이 위성으로 한화는 ‘우주 감시정찰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0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 등 한화 방산 3사는 역대 최대 규모인 1960㎡ 통합관을 열고 미래 전장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 (사진=한화시스템)
20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 등 한화 방산 3사는 역대 최대 규모인 1960㎡ 통합관을 열고 미래 전장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
한화시스템의 VLEO UHR SAR 위성은 15cm 해상도로 세계 최고 수준인 25cm급 SAR을 뛰어넘는다. 이달 전시된 실물 목업은 한화의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이다. 지상의 휴대폰·생수병 같은 미세 물체까지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화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위성 제조와 운용을 넘어, 위성영상 서비스·AI 분석까지 포함하는 ‘우주 데이터 비즈니스’로 영역을 넓히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번 ADEX에서는 전투기 ‘눈’ 역할을 하는 한화시스템의 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다 풀 패키지도 관람객의 시선을 모았다.
공랭식 무인전투기용 레이다, KF-21용 AESA 레이다, 미국 제너럴아토믹스와 공동개발 중인 Gray Eagle-STOL용 소형 레이다, 그리고 레오나르도와 협력한 경전투기용 GRIFO-EK 등 네 종이 한자리에 공개됐다.
AI 기반 위협 판단을 통해 단·중·장거리 전고도 공중위협을 무력화하는 ‘차세대 통합 방공시스템’도 처음 공개됐다. ‘천궁-II’, ‘L-SAM’, ‘LAMD’ 등 다기능레이다 시리즈가 함께 전시됐다.